당연한 이야기지만, (본인이 원하는 공부가 무엇인지 정해진 상황에서) 그 다음 과정은 당연히 학교 선택일 것이다. 학교를 선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내가 알고 있는 학교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알아 본 뒤 선택할 수도 있고, 지인들이나 유학원 등의 추천을 받을 수도 있다. 정말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지만, 우리가 쉽게 무시하곤 한다.
학교를 정할 때는 개인에 따라 다양한 선택 기준이 존재할 수 있다. 우습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끔 유학 커뮤니티를 보면 날씨와 도시 규모 등으로 고민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진심인지 물어보지는 못했지만).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석박사를 위한 대학원 선택의 경우 비근한 이야기지만 학과의 특성과 교수들의 연구방향에 대해 사전 조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나는 사실 석사 지원 시에 그렇게 하지 못했다. 그저 내가 들어 본 학교를 선택한 뒤, 내가 공부하려는 전공이 존재하는 지 찾아본 뒤 지원하기 빠빴다. 나중에 학과 홈페이지에서 수업일람 등을 조회해본 적은 있지만, 구체적으로 그 과목들이 무엇을 다루는지, 교수들의 최근 연구물을 무엇인지 알아보지는 못했다. 그래서 입학 초기에 매우 놀라기도 했다. 우리 말로 번역하면 같은 전공인데, 전혀 생각치 못한 것들을 배웠으니까 -_-;
학교를 선택했다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한다. 한 쪽에서 얻는 정보는 늘 치우치기 마련이다. 특히,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곳에서 얻는 정보는 그럴 가능성이 더 높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학교 측에서 여는 입학 정보 세미나 등도 비슷할 수 있다. 그럼에도 난 기회가 된다면 (현지에 있다면) 학교에서 하는 입학 설명회에 가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우연히 좋은 정보를 얻게 되는 것은 차치하고, 목표를 향한 나의 마음가짐을 다잡는데 그만한 방법이 없는 것 같다. 캠퍼스와 도서관도 둘러 보며, 그 곳에서 향학열을 불태우는 내 모습을 상상해 보는 것은 유쾌한 경험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주권 희망자들이 눈여겨 보아야 할 요소가 하나 있다. 영주권에 관심있는 분들은 '호주 내 학업 2년'이란 말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여전히 그 2년을 물리적 2년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은 아니다. 똑같이 3학기를 했는데, 어떤 전공은 2년 학업으로 인정되고, 어떤 전공은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내 경우 1년 6개월 석사 과정이었지만, '호주 내 학업 2년' 조건을 충족했다. 하지만 나와 함께 공부했던 바로 옆 전공 친구는 1.5년으로 인정되었다. 뭐, 비밀이라 할 것도 없지만 그것은 2년이란 개념이 호주 교육부에 등록된 교육 시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호주에 관한 이야기 > 대학원 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7A 온쇼어 학생비자 신청 (0) | 2012.01.09 |
---|---|
위대한 교육은? (0) | 2011.12.30 |
호주 대학원 코스웍? 리서치? (0) | 2011.12.30 |
호주정부장학금(IPRS)에 관하여 (0) | 2011.12.29 |
호주 대학원 지원서 작성하기 (0) | 2011.12.29 |